한자의 음과 뜻을 알고있다면 모양을 잘 모르더라도 온라인사전 등을 활용하여 쉽게 검색해서 찾을 수 있는데요, 만약 모양만 알고있고 음과 뜻을 모르는 상태라면 검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 

하지만 필기인식기능을 지원하는 한자사전이라면 마우스로 그려서 찾는것이 가능한데요, 오늘은 네이버 한자 필기입력기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
 

포털 또는 검색엔진 등을 활용해서 [네이버 한자사전]을 검색하여 접속하거나, 바로가기 링크(네이버 한자사전 (naver.com))를 통하여 접속합니다. 위의 그림처럼 한자를 찾을 수 있는 검색창이 나오는데요, 음이나 뜻을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.




[고급검색] 버튼을 누르시면 음/총획수/부분단어로 찾기, 부수(1획~17획)로 찾기, 모양자(1획~18획)로 찾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연필모양의 버튼을 누르시면 필기인식기 창을 열 수 있어요.

 

좌측의 비어있는 공간에다가 여러분들이 원하는 한자를 마우스로 직접 그려줍니다.

 

정확하게 그릴수록 정확도가 올라가지만 약간씩은 비뚤게 그리더라도 대략적으로 모양이 비슷하면 대부분 원하는 한자를 잘 찾아줍니다. 또한 유사한 한자들도 같이 보여주기 때문에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.




저는 [집 헌]이라는 글자를 그려서 입력해보았는데요, 가장 첫번째에 제대로 떴네요. 그리다가 틀렸을 경우 [1획 지우기] 또는 [모두 지우기]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,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창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.

 

그리기를 완료하고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면 해당 한자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음/한자, 단어/성어, 뜻풀이, 부수/모양자, 학습정보 메뉴로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<관련글>

https://logstudy.tistory.com/1896

 

오탈자 검사기 - 나라인포테크 한국어 맞춤법/문법 검사기

오탈자는 글자가 잘못된 오자와 일부 글자가 빠지는 탈자의 합성어인데요, 한자에서는 와자라고도 하고 인쇄물과 관련해서는 오식이라는 말로도 씁니다. 또한 타자를 잘못 치는 오타도 해당됩

logstudy.tistory.com

https://logstudy.tistory.com/1847

 

한자 변환기 [한자로 - 한글/한자 자동변환기]

한자로라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한글/한자 자동변환기를 이용해보겠습니다.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이용할수도 있고, 온라인에서 곧바로 TEXT 변환기를 이용해볼수도 있습니다. 한글을 입력하면

logstudy.tistory.com

 


,